연구에 왜 환경이 중요하지?

요즘 한창 박사과정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안 그래도 넋두리성 글을 몇개 써놓고 있다 ㅎㅎ 조만간 툭툭 하나씩 올려야지;; 암튼 남들은 한번 하고도 학을 뗀다는 학교 지원을 두번째 하고 있다 ㅠㅠ 2년전에 이어 두번째 SOP를 쓰면서,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연구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대충의 답이야 석사 유학을 준비하던 2년 전에도 가지고 있었지만, 연구를 해 보고 이곳의 HCI 연구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느끼고 나니 또 많은 것이 다르게 느껴진다.

 

어찌 보면 박사로 바로 오지 않고 석사를 거쳐서 박사를 가기로 한 결정은 옳았던 것 같다. 대체 뭐하는 건지 모르겠는 생소한 분야에 덜컥 5년을 내던지는 것이 여러모로 risk 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만약 박사로 바로 와서 2년차가 되어있다고 생각하면 좀 아찔하다. 한국에서 학부 때 경험을 쌓을 수 있던 아키텍처나 컴파일러 같은 분야를 했으면 상황이 달랐으려나? 가지 않은 길이니 단정짓기 어렵다. 어쨌든 HCI 박사를 덜컥 시작했으면 어차피 박사 7년 해야 됐을듯 ㅋㅋㅋ 그런 면에서 한국에서 배우고 연구하던 것을 이어서 하는 사람들을 보면 시간을 크게 절약하는 것 같아 부럽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에서 하기 어려운 것을 나는 하는 것이니 비싼 돈들여 유학온 보람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HCI 라는 분야의 특성상 한국 학부에서는 cutting-edge HCI 연구를 경험하기가 (적어도 내가 다닐 때를 생각해 보면) 극히 어렵다. 한국 대학원의 경우 경험해 보지 못해서 뭐라 말하기 어렵다. HCI 랩도, 입문수업도 없던 학부 과정을 다니면서 HCI 유학을 준비하는 것 자체가 약간은 말이 안되는 것이기도 했다. 기껏 했던거라고는 최근에 나온 논문을 찾아보는 것과 온라인 스터디를 한 것 정도. 그런데 최신 논문이라는 것이, 이미 출판되어 내가 접근이 가능하다면 이미 최신 연구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특히 호흡이 너무 빨라 정신 없이 느껴지는 HCI 분야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얼마전 랩 점심시간에 HCI 연구자인데 시스템 분야 컨퍼런스에 초대를 받아 다녀온 선배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 컨퍼런스에 나오는 연구는 평균적으로 최소 너댓명의 연구팀이 3~4년 동안 작업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반면 HCI 에서는 박사과정 학생이 여름에 인턴하면서 3개월 동안 논문을 써내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다. 연구의 깊이나 난이도를 논하자는 것이 아니다. 그만큼 분야의 성격이 다르다는 것이다. 섣부른 일반화일 수 있겠지만, HCI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순발력센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 같다. 이게 바로 문제다. 순발력과 센스를 이역만리 한국에서 어떻게 배워오냐는 말이다!

 

환경의 중요성을 많이 느낀다. 같은 자질을 가지고 있더라도 어떤 환경에서 어떤 걸 보고 배워 어떤 생각을 하는가가 결국 그 사람의 미래를 결정한다. 그래서 우리는 가끔 What if… 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며 가지 않은 길을 후회하며 쓴웃음 짓는 것이 아닐까. 천재는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에서의 주장이 새삼 머리를 울린다.

Author: mcpanic

어떻게 하면 보다 사람냄새 나는 기술을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는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연구자 / 컴퓨터과학자 / 새내기 조교수